대한모체태아의학회 전문가 권고문
NIPT검사에서 성염색체 이상 검사를 시행해야 하는가?
정영미, 권하얀, 김소연, 김지회, 성지희, 이영주, 한유정, 홍수빈, 이승미
서론
최근 산전선별검사로서 임신부 혈액내의 태아 DNA 분석을 이용한 태아 DNA 선별검사 (NIPT)는 국내에서 활발하게 임상에 적용되고 있다. 태아 DNA 선별검사는 태아 염색체 이상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지만 다운증후군의 경우에는 매우 낮은 위양성율과 높은 질환 발견율을 장점으로 보이고 있다. 태아 DNA를 분리하고 이를 통한 염색체 이상을 분석하는 기법의 발달로 인해 태아 염색체의 홀배수체 이상에 대해 확인 가능한 기술이 확보되었고 21, 18, 13번에 대한 선별검사 외에 성염색체 홀배수체 검사가 가능하게 되었다. 하지만 NIPT를 이용하여 성염색체 홀배수체 이상에 대한 검사를 진행하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해서는 합의된 결론이 도출되지 않은 상태이다.
본론
1) NIPT에서 성염색체 검사 결과의 정확도
2023년 AJOG MFM 저널에 게재된 메타분석 결과에 따르면 NIPT의 방법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성염색체 이상에 대한 민감도는 94%, 특이도는 99.%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전반적인 성염색체 이상에서 50% 미만의 낮은 양성예측도가 관찰되었다. 특히 monosomy X (터너증후군)에서 나이와 관련된 single X chromosome 소실 위험의 증가와 태반모자이시즘으로 양성예측도는 32% (95% CI, 27.0%−37.4%)에 불과하였다.
2) 기존 가이드라인에서 NIPT에서 성염색체 검사 결과와 관련한 권고 내용
American College of Medical Genetics (ACMG)는 2022년 “NIPT로 성염색체 이상의 선별검사로 권고할 수 있다. 단 쌍태임신에서는 성염색체 이상을 선별하는 것이 제한적일 수있다" 라고 임상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였다.
대한의학유전학회는 2021년 “NIPT는 성염색체 수적이상의 선별검사로 권고할 수 있다.”라고
Position statement를 발표하였다.
International Society for Prenatal Diagnosis (ISPD)는 2023년 “NIPT로 성염색체 이상을 선별하는 것은 상염색체 이상 선별과 함께 충분히 정확도가 높은 검사이다. 그러나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인종적 배경에 따라 성염색체 이상을 선별할 지를 고려해야 할 수 있다” 라고 Position statement를 발표하였다.
3) NIPT에서 성염색체 이상소견이 나왔을 때 시행해야 하는 검사
대부분의 가이드라인에서 NIPT에서 성염색체 이상이 있는 경우 그에 대한 모체태아분과 및유전분과 전문가를 통한 유전상담, 추가적인 태아 초음파검사, 염색체 확진검사로서의 융모막융모 혹은 양수검사등을 권고하였다. 만약 염색체 확진 검사를 안 하는 경우에는 출생 후 염색체 검사를 통한 확인이 필요하다.
|
|
ACOG |
유전상담, 태아초음파검사, 진단적 검사 (융모막검사, 양수검사 등) |
The Society for Maternal-Fetal Medicine (SMFM) |
유전상담, 진단적 검사 (융모막검사, 양수검사 등) |
모체태아의학회 |
유전상담, 태아초음파검사, 진단적 검사 (융모막검사, 양수검사 등) |
|
* 성염색체 뿐 아니라 NIPT에서 고위험군 일 때 |
ISPD |
유전상담, 태아초음파검사, 진단적 검사 (융모막검사, 양수검사 등) |
ACMG |
진단적 검사 (융모막검사, 양수검사 등) |
대한의학유전학회 |
언급없음 |
결론
NIPT를 이용하여 성염색체 홀배수체 이상에 대한 검사를 진행하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해서는 합의된 결론이 도출되지 않은 상태이다. 성염색체 이상을 선별하는 검사를 시행해 볼 수 있으나 검사 전에 NIPT는 성염색체 이상에 대한 위양성이 높으며, 성염색체 이상은 다양한 예후를 보임을 설명하고 진행해야 한다. 또한 NIPT에서 성염색체 이상의 고위험군으로 분류된 경우 유전상담 및 염색체 확진 검사가 필요하다.
Reference
1) Bussolaro S, Raymond YC, Acreman ML, Guido M, Da Silva Costa F, Rolnik DL, Fantasia I. The accuracy of prenatal cell-free DNA screening for sex chromosome abnormaliti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m J Obstet Gynecol MFM. 2023 Mar;5(3):100844. doi: 10.1016/j.ajogmf.2022.100844. Epub 2022 Dec 24. PMID: 36572107.
2) Dungan JS, Klugman S, Darilek S, Malinowski J, Akkari YMN, Monaghan KG, Erwin A, Best RG; ACMG Board of Directors. Electronic address: documents@acmg.net. Noninvasive prenatal screening (NIPS) for fetal chromosome abnormalities in a general-risk population: An evidence-based clinical guideline of the American College of Medical Genetics and Genomics (ACMG). Genet Med. 2023 Feb;25(2):100336. doi: 10.1016/j.gim.2022.11.004. Epub 2022 Dec 16. Erratum in: Genet Med. 2023 Aug;25(8):100874. PMID: 36524989.
3) 대한의학유전학회 제 26차 학술대회 발표자료
4) Hui L, Ellis K, Mayen D, Pertile MD, Reimers R, Sun L, Vermeesch J, Vora NL, Chitty LS. Position statemen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Prenatal Diagnosis on the use of non-invasive prenatal testing for the detection of fetal chromosomal conditions in singleton pregnancies. Prenat Diagn. 2023 Jun;43(7):814-828. doi: 10.1002/pd.6357. Epub 2023 May 16. PMID: 37076973.
5) Society for Maternal-Fetal Medicine (SMFM) Publications Committee. Electronic address: esteele@smfm.org. SMFM Statement: clarification of recommendations regarding cell-free DNA aneuploidy screening. Am J Obstet Gynecol. 2015 Dec;213(6):753-4. doi: 10.1016/j.ajog.2015.09.077. Epub 2015 Oct 14. PMID: 26458766.
6) American College of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s’ Committee on Practice Bulletins—Obstetrics; Committee on Genetics; Society for Maternal-Fetal Medicine. Screening for Fetal Chromosomal Abnormalities: ACOG Practice Bulletin, Number 226. Obstet Gynecol. 2020 Oct;136(4):e48-e69. doi: 10.1097/AOG.0000000000004084. PMID: 32804883.
7) 태아 염색체 선별검사와 진단검사에 대한 임상진료지침 (2019), 대한모체태아의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