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모체태아의학회

지난호보기

메뉴열기

국가 데이터 기반 국내 연구 결과 소개

본 section 에서는 공단 자료 등 국내 국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연구가 된 국내 연구의 결과 중 진료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Is limited access to obstetric services associated with adverse birth outcomes? A cross-sectional study of Korean national birth data

  • 연구 제목: 산과 의료 시설에 대한 의료접근성과 임신 예후 간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 연구 결과: 이 연구는 국내 출생 통계와 의료서비스 이용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2014년부터 2018년 간 단태아를 분만한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의료 접근성은 Time Relevance Index (집에서 차로 60분 거리에 있는 산과 의료 시설에서 분만한 수/지역에서 전체 분만 수 * 100)로 계산하였다. 의료 접근성과 조산, 과숙임신, 저체중아, 거대아의 연관성에 대해서 분석하였을 때 산과 의료 시설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질수록 거대아와 조산의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 연구의 중요성: 산과 의료 시설에 대한 접근성이 임신 예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국내 출생 통계를 이용하여 분석한 대규모 역학 연구이다.

민혜숙, 김새롬, 최승아 외 BMJ Open 2022 May 19;12(5) :e056634

In utero exposure to ritodrine during pregnancy and risk of autism in their offspring until 8 years of age.

  • 연구 제목: 자궁수축억제제인 ritodrine과 신생아의 장기 예후와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 연구 결과: 국내 공단자료 및 영유아 검진 자료를 이용하여 2007-2008년 출생한 신생아 약 77만명을 대상으로 산전 치료 중 ritodrine이 투여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하여 조산 등의 교란변수를 보정하고도 생후 8세까지 자폐증 관련 진단을 받은 경우가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 연구의 중요성: 조산을 막기 위한 ritodrine 투여가 단기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은 맞지만, 장기적으로 신생아의 신경학적인 발달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기에 ‘ritodrine 단기간 사용 및 신중한 투여’의 중요성을 강조한 국내 대규모 역학 연구 결과이다.

채정수, 조금준, 오수영 외 Sci Rep. 2021 Jan 13;11(1):1146.

Nationwide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of adverse obstetric outcomes in pregnancies with myoma or following myomectomy: retrospective cohort study

  • 연구 제목: 자궁근종 절제술 후 임신의 합병증에 관한 연구
  • 연구 결과: 국내 건강보험 청구 자료를 이용하여 2004년 2015년 사이에 임신은 했던 산모들을 대상으로 근종을 진단받지 않은 산모들(740,675명)과 자궁근종절제술을 받은 후에 임신했던 산모들(38,402명)의 임산 합병증의 위험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자궁근종절제술을 받은후 임신한 산모들이 제왕절개율, 전치태반의 위험도가 증가했다. 특히 자궁파열의 위험도가 12배 증가했고, 특히 초산모에서는 41배로 매우 높게 증가했다.
  • 연구의 중요성: 자궁근종절제술은 임신 중 자궁파열의 위험도를 상당히 높인다는 결과의 대규모 연구이며, 이는 임신계획이 있는 여성에서 자궁근종절제술을 지양하는 필요성을 강조한 논문이다.

이세진, 고현선, 나성훈 외 BMC pregnancy childbirth. 2020 20:716. 

Copyright by 대한모체태아의학회 All rights reserved.

서울특별시 양천구 안양천로 1071 이대목동병원 9층 산부인과 의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