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모체태아의학회

지난호보기

메뉴열기

제28차 대한모체태아의학회 학술대회 수상자 소개

최우수상

Non-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risk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배지혜 (서울의대)

목적 : 임신성 당뇨병(GDM)은 American Heart Association의 가이드라인에도 포함될 만큼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요소이나, 이전 연구들은 주로 심근 경색이나 뇌졸중의 위험에 대하여 이루어졌고, 비죽상동맥경화성 심혈관 질환(non-ASCVD)의 위험에 대한 연구는 부족합니다. 이에 고령층을 대상으로 하고 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소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본 연구에 적합한 UK biobank 데이터를 이용하여 GDM 병력이 있는 여성에서 non-ASCVD에 대한 위험이 증가하는지 분석해 보았습니다.

결과 : UK biobank 데이터의 산모 중, GDM 병력이 있는 1,380명의 여성과 6,900명의 대조군 여성을 non-ASCVD의 위험에 대해 비교하였고, non-ASCVD는 심부전, 대동맥 협착증, 승모판 역류, 심방 세동/조동 및 정맥 혈전색전증으로 분석하였습니다. 그 결과, GDM 병력이 있는 여성의 경우 non-ASCVD의 발병 위험이 더 높았고(HR 1.36, 95% CI, 1.13-1.57), 특히, 심부전, 승모판 역류, 심방세동/조동의 발병률이 증가하였습니다(1.8 vs 1.3, p=0.014; 0.9 vs 0.4, p=0.006; 2.9 vs 2.0, p=0.012).

임상적 의미 : 결론적으로, GDM의 병력은 non-ASCVD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GDM을 ASCVD 뿐 아니라 non-ASCVD의 위험인자로 인식하고, 위험인자가 있는 산모들의 심혈관 질환 예방을 위해 위해 노력한다면 심혈관 질환의 발생률을 낮추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우수상(임상)

Cerclage 봉합사 매듭에서 동정되는 세균의 임상적 의의 및 신생아조기패혈증과의 연관성 김예진 (성균관의대)

연구 배경 및 목적 : Cervical cerclage는 고위험 산모에서 조산 예방을 위한 산과적 치료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cerclage 수술의 합병증으로 간혹 자궁 내 감염과 연관되며 특히, 봉합사 자체는 신체에는 이물질로써 미생물이 증식하기 좋은 환경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cerclage를 시행한 경우 봉합사 매듭에서 동정되는 세균의 임상적 의의를 확인하고, 특정 균에 따른 주산기 예후를 비교하였습니다.

결과 : 연구 대상군은 2018년 1월부터 2022년 4월 사이 본원에서 cerclage 매듭을 제거하고 (타병원에서 cerclage를 받은 사람 포함), 16주 0일에서 36주 6일 사이 분만한 92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하였습니다. 연구 결과, 80.4%에서 cerclage 매듭 배양 검사에서 세균이 동정되었고, 가장 흔한 세 가지 균은 Enterococcus faecalis, E.coli, Klebsiella species 였습니다. 주산기 예후를 비교하였을 때 (생존 출생아 대상), cerclage 매듭에서 E.coli가 동정된 경우 신생아조기패혈증이 의미있게 증가되었으며(17.1% (7/41) vs. 2.9%(2/68), p-value 0.026), 7건 중 6건이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s producing E.coli에 의한 패혈증이었습니다.

임상적 의미 :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cerclage 매듭은 다양한 세균들이 자라는 reservoir 가 될 수 있으며, 특히 E.coli가 자라는 경우 비슷한 주수 및 출생 몸무게에서도 상대적으로 신생아조기패혈증 의 위험이 증가함을 확인하였습니다. 본 연구의 임상적 의미는 cerclage가 적응증에 맞게 신중한 판단 하에 수행되어야 함을 강조합니다.

우수상(임상)

Identification of short chain fatty acids in cervicovaginal fluid as predictors of preterm birth 허영민 (이화의대)

목적 : 최근 대사체 연구는 질병 진단 및 바이오마커 탐지 등 의학분야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으며, 조산 역시 질 내 마이크로바이옴의 화학적 프로세스로 인한 특정 대사체들과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본 연구진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GC/MS)을 이용하여 조산과 관련하여 특정 short chain fatty acids(SCFAs)를 찾고, 이를 조산 예측을 위한 잠재적인 바이오마커로 제안하고자 하였습니다.

결과 : 조산산모 29명과 만삭분만한 산모 60명을 대상으로 임신 2, 3삼분기에 채취한 자궁경부질액 검체에 대해 targeted metabolic analysis를 진행하였습니다. 그 결과, 6개의 SCFAs(propionate, butyrate, isobutyrate, valerate, hexanoate, heptanoate)가 조산군에서 만삭분만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습니다(p<0.05). 특히, 4개의 SCFAs(propionate, isobutyrate, hexanoate, heptanoate) 농도는 만삭분만군보다 조산군에서 전체 재태연령에서 항상 높게 나타났습니다(p<0.05). 또한, ELISA 측정을 통해 조산군의 자궁경부질액에서 IL-6가 만삭분만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고(p=0.003), 이와 SCFAs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propionate (r=0.47, p=0.001), isobutyrate (r=0.57, p=0.001), 그리고 heptanoate (r=0.58, p=0.002)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습니다. 더 나아가 위 4개의 SCFAs에 대해 자궁경부질액 채취 후 2일 이내에 분만한 조산군, 채취 2일 이후에 분만한 조산군 및 만삭분만군 사이의 하위그룹분석을 시행하였는데, 4개의 SCFAs 모두 자궁경부질액 채취 후 2일 이내에 분만한 조산군에서 유의하게 농도가 증가해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p<0.05).

임상적 의미 : 이 연구가 향후 조산의 발병 기전을 밝히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나아가 조산 조기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 발굴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우수상(기초)

Hyperuricemia induces decidual lymphatic endothelial dysfunction via suppression of TMEM100 in severe preeclampsia  권하얀 (연세의대)

목적: 임신 중 면역 관용 (immune tolerance)에 관여하는 면역세포들은 자궁 내의 모체와 태아가 접촉하는 탈락막 (decidua) 에 존재하며 착상과 임신 유지에 중요한 혈관 생성 및 영양막 (trophoblast)의 발달에 필수적인 작용을 합니다. 하지만 임신 중 심혈관계 질환인 전자간증 (preeclampsia)에서는 탈락막(decidua) 의 면역 기능 불균형에 의해 결국 면역 관용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주요 증상 및 합병증이 발생한다는 가설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본 연구진는 이전 연구에서 탈락막에 림프관 (lymphatic vessel) 이 존재함을 확인하였고 전자간증에서 정상에 비해 림프관이 감소되어 있고 림프관신생(lymphangiogenesis)와 관련된 PROX-1이나 VEGF3의 발현이 저하된 것으로 전자간증의 병태생리에 탈락막의 림프관 기능저하가 관여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한편 전자간증에서 요산(uric acid)의 증가는 전자간증의 악화나 안좋은 예후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진은 전자간증에서 림프내피세포의 기능 부전에 의한 림프관 기능 저하를 확인하고 요산 (uric acid) 이 림프관 기능 저하에 관여하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습니다.

결과: 림프관 (Lymphatic vessel)은 림프내피세포(lymphatic endothelial cells)로 이루어져 있고 림프내피세포들은 버튼(button)과 지퍼(zippers) 와 같이 특별한 기능을 가진 세포 접합부 (cell-cell junction) 로 붙어 있습니다. 먼저 림프관 기능 저하를 확인하기 위해 중증 전자간증의 탈락막에서 분리한 림프내피세포가 정상에 비해 migration, adhesion, tube formation 등의 림프관신생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또한 탈락막의 림프내피세포간의 세포 접합부를 면역형광염색으로 확인한 결과 VE-cadherin 과 Occludin 도 전자간증에서 확연히 감소되어 세포 접합부도 파괴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더불어 세포의 투과성도 전자간증에서 정상에 비해 증가되어 있었습니다. 요산이 림프내피세포의 기능 저하에 관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정상 탈락막의 림프내피세포에요산을 처리한 군과 처리하지 않은 군의 기능을 비교해 보았을 때 요산을 처리한 군에서 tube formation이 감소하고 tubular network structure 도 억제되었으며 세포 접합부의 VE-cadherin과 occludin 의 발현이 감소되고 세포 접합부가 파괴된 것을 관찰하였습니다. 기전 확인을 위해 중증 전자간증과 정상의 탈락막의 림프내피전구세포 간의 마이크로 어레이를 통한 유전자 발현 정도를 비교하였고 중증 전자간증, 또는 정상 탈락막의 림프내피전구세포에 요산을 처리한 경우에 TMEM100 발현이 정상에 비해 현저히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또한 TMEM100 억제할 경우 정상 세포에서도 tube formation, 세포 접합부의 파괴, 세포의 투과성 증가가 확인되었습니다.

임상적 의미: 본연구를 중증 전자간증에서 요산의 증가는 TMEM100 발현을 감소시켜 탈락막의 림프내피세포 기능에 영향을 주어 결국 림프관의 기능정하를 일으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Copyright by 대한모체태아의학회 All rights reserved.

서울특별시 양천구 안양천로 1071 이대목동병원 9층 산부인과 의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