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모체태아의학회

메뉴열기

연수 기관 소개

The Perelman School of Medicine

서울의대 서울대병원 이승미

저는 저희 교실의 교수님들께서 배려해주신 덕분에, 지난 2020년 4월부터 2021년 2월까지 펜실베니아 대학의 의과대학인 The Perelman School of Medicine으로 연수를 다녀왔습니다. 펜실베니아 대학은 미국 펜실베니아 주 내의 필라델피아에 위치하고 있는 사립대학교로 미국 동부 8개 명문 사립대학인 아이비리그에 속하고, 흔히 Penn (펜) 또는 UPenn (유펜) 으로 불리는 곳입니다. 이 대학 중 의과대학은 미국 의과 대학 중 TOP 3로 선정되었다고 합니다.

연수 주제를 정하면서 고민이 많았는데 Genetics 에 대한 연구를 할 수 있는 곳으로 알아보다가 같은 의과 대학 교수님의 소개로 이 곳의 Department of Biostatistics, Epidemiology & Informatics 로 연수를 가게 되었습니다. Genetics 자체가 제가 평소에 잘 알던 분야가 아니어서 그 학문 자체가 생소한 곳인데다가 언어의 장벽까지 넘어야 하면, 이 분야에 대해 잘 습득하고 오기가 쉽지 않겠다는 고민이 많았는데 다행히 이 곳에 한국 교수님인 김도균 교수님께서 계셔서 그곳에서 Bioinformatics/ genetics 분야에 대해 잘 배우고 올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Upenn 은 처음에 연수 준비를 시작할 때부터 쉽지가 않았습니다. 우선 적절한 영어 회화 실력을 객관적으로 증명해야 visiting faculty 로 갈 수 있어서 오랜 만에 영어 공부를 다시 해야 했습니다. 영어 회화 시험으로 잘 알려진 OPIc 시험 기준으로는 Intermediate High 이상 grade 를 받아야 visiting faculty 서류를 접수할 수 있어, 오랜 만에 각종 영어 문장을 외우면서 한 달 넘게 시험을 준비를 했던 지금은 추억이지만, 그 때는 참 어려웠던 시간이었습니다. 그리고 Bioinformatics 분야에 대해 정말 하나도 모르는 MD 교수를 받는 것이 걱정이 되셨던 김도균 교수님께서 연수 오기 전에 정보의학 인증의 교육 과정을 수료하고 오면 좋겠다고 의견을 주셔서 2019년에 총 28주 동안 매주 토요일 15:00-21:00 시간 동안 수업을 들었습니다. 토요일 오전 외래가 끝나고 간단히 식사를 하고 매주 여기 강의를 듣는 것도 육체적으로도 피곤하지만 강의 내용들이 R 통계, python 프로그래밍 등에 대한 것이라 강의의 내용도 아주 어려운, 수료하기 쉽지 않은 코스였습니다. 매주 수업 후에 선생님께서 내주신 통계/프로그래밍 숙제를 하는 것도 만만하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그 과정들을 다 거치고 3월에 연수를 가니, 도착하자 마자 코로나가 미국에서 급속히 확산되어 도착한 후 2-3일 후에 모든 공공기관이 문을 닫는 Lock down 이 시작되었습니다. 그래서 미국에서 social security number(SSN)를 받고 이후 운전면허카드를 발급받고 차를 구입할 수 있기까지 총 4개월이 걸렸습니다. 아이의 중학교 등록도 처음에 안되어 아이도 약 4주 후에 현지 학교 학생으로 등록이 되는 등 초반에는 Pandemic 때문에 참 곤란한 일을 많이 겪었습니다.

이런 우여곡절 끝에 간 연수지는 결론적으로는 아주 좋은 곳이었습니다. Department of Biostatistics, Epidemiology & Informatics 가 미국에서도 아주 인기가 많은 곳이어서 훌륭한 연구원들이 많이 있었고 각종 최신 연구들을 수행하고 있었습니다. 덕분에 기계 학습이나 빅데이터를 이용한 연구 방법들에 대해 잘 배우고 올 수 있었습니다. 거기서도 한참 각종 프로그램 코딩과 한참 씨름하고 온 덕분에, 이제 거기 박사님께서 작업하신 코딩을 보면서 ‘이 부분 코딩은 좀 이상해서 이렇게 변경해야 할 것 같은데요.’ 라는 의견을 낼 수 있는 수준이 되어 개인적으로는 연수의 목적을 어느 정도 성취한 것 같아 보람이 있습니다. 의학적 견지에서 통계 프로그래밍을 다룰 수 있다는 것이 앞으로 이 분야의 연구를 할 때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Lock down 덕분에 저도 집에서 원격으로 근무하고 아이도 원격으로 수업을 들어, 아이들과 처음 몇 달 간은 계속 집에서 24시간을 같이 보내게 되었는데 이 또한 앞으로 절대 다시 해볼 수 없는 좋은 추억이 된 것 같습니다. 덕분에 사춘기인 첫째 아이와 사이가 돈독해지고 아직 어린 둘째 아이도 엄마를 더 잘 따르게 된, 저에게는 아주 소중한 1년이었던 것 같습니다. 당시 살던 아파트에 한국에서 오신 교수님들도 꽤 있어 미국에서 한국형 회식을 1달에 1-2번씩 하였는데 그 또한 재미있는 추억이 되었습니다.

코로나로 아쉬운 점도 많았지만 나름 장점도 꽤 있었던 의미 있는 연수기간을 제가 잘 보낼 수 있도록 도와주신 모체태아의학회 내 여러 선생님들께도 깊은 감사 드립니다.

[그림] 연구실에서 화상회의로 회의하는 모습

Copyright by 대한모체태아의학회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강남구 일원로 81, 삼성서울병원 암병원 7층 산부인과 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