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own-regulated mitochondrial matrix related gene, NME4, expression in trophoblast differentiation of patient-specific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from preeclamptic pregnancy
연세의대 신촌세브란스병원 전자간증은 불충분한 영양막 침입과 자궁 나선 동맥의 재형성 부족으로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생각 되어지며 이로 인한 태반 관류의 감소는 허혈성 태반 미세 환경을 유도하여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하게 됩니다. 또한 mitochondria 기능 장애는 산화 스트레스와 관련된 유사한 장애의 원인으로 간주되어진 바 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간증 환자를 미리 예측하고 조기 진단하기 위해 영양막 분화 세포 모델을 이용하여 병태생리학적 원인과 관련된 후보 유전자를 검증하고자 하였습니다. 연구방법으로 정상 및 전자간증 환자 유래 역분화줄기세포주로부터 영양막 분화를 유도하여 세포모델을 확립한 후 병태 생리학과 관련된 후보 유전자를 조사하기 위해 전사체 분석(Transcriptome analysis)을 수행했습니다. 연구 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후보 유전자 중 mitochondria matrix 관련 NME/NM23 Nucleoside Diphosphate Kinase 4 (NME4)가 전자간증 환자 세포에서 낮게 발현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mitochondria 기능 장애 이후 세포사멸과 관련한 지표들로 p53과 TUNEL 양성 세포들이 증가함을 확인했습니다. 또한, NME4 발현과 세포 사멸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역분화줄기세포모델에 Lentivirus를 이용하여 NME4를 과발현 시켰고 proapoptotic 관련 유전자인 iNOS, Caspase3의 발현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결론적으로 전자간증에서mitochondria 결함은 영양막 세포들의 세포 사멸 및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게 되며, 본 연구를 통해 NME4와 같은 mitochondria matrix 관련 유전자의 하향 조절된 발현은 전자간증의 병태생리에 중요한 mediator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Progesterone receptor membrane component 1 and CD 14 in placental deciduas with preeclampsia and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인하의대 인하대병원
본 연구는 preeclampsia와 IUGR이 다른 pathogenesis를 갖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것입니다. Ovary의 granulosa cell에서 anti-apoptotic effect를 가지며 inflammatory condition에서 감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progesterone receptor membrane component 1 (PGRMC1)과 innate immunity의 inflammatory marker인 CD14의 발현의 차이를 preeclampsia와 IUGR, complication이 없는 full-term에서 비교해보고자 하였습니다.
Preeclampsia 9명, IUGR 6명, 8명의 term 분만 후 placental decidua 얻어 western blot과 IHC를 시행하였습니다.
Preeclampsia와 IUGR은 모두 초산모로 분만주수는 30-34주로 차이는 없었습니다. Western blot의 결과에서 28kDa PGRMC1과 53kDa CD14이 각각의 경우에서 발현된 정도를 b-actin과 ratio로 살펴보았습니다. PGRMC1은 preeclampsia에서 0.52, IUGR에서 0.51, term에서 0.51로 3 group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CD14는 preeclampsia에서 0.90, IUGR에서 0.47, term에서 0.38로 preeclampsia에서 의미 있게 높은 발현을 보였고 IUGR에서 preeclampsia보다 의미 있게 낮았습니다. IHC결과는 western blot결과를 뒷받침하는 같은 결과를 보였습니다.
정리하면, preeclampsia와 IUGR에서 placenta decidua PGRMC1의 발현은 term과 차이 없는 비슷한 발현을 보였지만 CD14은 preeclampsia에서만 높게 발현되어 preeclampsia와 IUGR이 다른 pathogenesis를 갖지 않을까 생각되며 앞으로 많은 연구가 필요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