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xytocin associated signaling is related with placental steroidogenesis
부산의대 부산대병원 옥시토신은 인체에서 자궁수축과 유즙분비를 조절하는 나노펩티드로 주로 시상하부에서 생산되어 뇌하수체후엽에 저장되었다가 분비된다. 임신시 황체, 자궁, 양막 및 태반에서 합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옥시토신 수용체에 의해 조직특이적으로 발현 및 조절된다. 본 연구진은 이전 연구에서 재태주수에 따라 옥시토신이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옥시토신과 옥신토신 수용체가 에스트로겐에 의해 조절되며, 이를 통해 옥시토신과 스테로이드 호르몬간의 관계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주요장기(뇌하수체 등)에서의 옥시토신 신호체계와 생리작용은 잘 확립되어있지만, 말단장기에서는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에 주목하여, 이번 연구에서는 태반에서의 스테로이드 호르몬생성에 옥시토신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스테로이드 호르몬 조절에 대한 옥시토신의 효과를 밝히기 위해, In vitro/in vivo환경에서 옥시토신과 옥시토신 길항제를 투여하고, 태반에서의 스테로이드 호르몬 생산효소의 발현 정도를 평가하였다. In vitro에서는 JEG-3 trophoblast cell을, 그리고 in vivo에서는 임신 9일의 Sprague Dawley Rat을 실험대상으로 하였다.
실험 결과 옥시토신을 투여했을 때 in vitro/in vivo 둘 다 에스트로겐의 발현이 증가하는 가운데 in vitro에서는 3-hydroxysteroid dehydrogenases1와 17-hydroxylase 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In vivo에서는 Aromatase의 발현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옥시토신 길항제인 Atosiban을 처리하였을 때는 aromatase만 발현이 억제되었다. 이러한 사실을 기반하여 추가적으로 Rat의 혈장 및 태반에서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정량해 보았으나, 이론상 옥시토신을 처리했을 때 전반적으로 증가해야 할 DHEA, testosterone과 estradiol의 유의미한 변화를 혈장과 태반에서는 관찰하기 어려웠으며, Atosiban을 투여했을 때, 에스트로겐의 농도가 감소하는 것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옥시토신에 의한 스테로이드 생산효소와 스테로이드 호르몬간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지는 못하였다. 이는 동물 모델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므로 인체에 적용하는 것과 결과가 다를 수 있어, 추후 인체를 대상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Antibiotic treatment in patients with preterm labor and intact membranes with amniotic fluid "sludge"
전남의대 전남대병원 조기분만진통을 야기하는 여러가지 원인 중에서도 양수 내 감염이나 염증소견은 mid-trimester에서 조산의 가장 흔하고 예방가능한 원인이 됩니다. Amniotic fluid sludge는 양수 내 미생물의 침입과 염증의 지표로서, 이에 대한 항생제 치료의 유효성에 대해 평가해보고자 본 연구를 계획하게 되었습니다. 양막파수되지 않은 조기분만진통 산모의 자궁수축억제제 치료와 더불어 amniotic sludge에 대한 항생제치료를 병행한 결과 분석이었습니다. 항생제는 3세대 세파계열 ceftriaxone IV qD, Metronidazole IV TID, Clarithromycin PO BID 3가지를 병합하여 사용하였으며, sludge가 사라진 30명의 Group A, 분만 전까지 사라지지 않은 28명의 Group B로 나누어 비교하였습니다. Sludge가 소멸된 Group A의 경우 sludge 크기가 Group B보다 작은 경향을 보이며, 이는 sludge 크기가 작을수록 항생제치료 반응도가 좋음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모든 경우에 Group B가 Group A보다 조산발생 확률이 높았습니다. 평균 태아체중은 Group A가 1869g, Group B가 1003g을 보였으며, 주산기사망률은 Group A에서 0%인 반면, Group B에서 35.7%를 보였습니다. 이에 따라 sludge에 대한 항생제치료가 조산을 예방하고, 신생아 예후 향상에 유의미한 치료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